글쓰기
101클래스 8월 1일_44일차 : 대중의 뇌를 사로잡는 스토리창작의 비밀(감성필)
은인혜
2024. 8. 1. 05:14
뇌과학으로 본 스토리체험과 창작의 비밀
스토리를 체험하는 관객의 정서적 욕구 5가지
새 정보 욕구 | 인간은 안전하게 집에 머물지, 새로운 곳을 탐험해 새 정보를 얻을지 늘 저울질한다 스토리를 보는 이유는 새로운 정보에 대한 허기를 충족시키기 위해서이다. |
안전한 위험 체험 욕구 | 인간은 늘 새 정보 욕구와 함께 새로운 정서 체험 욕구를 가진다. 현실에선 위험을 감수할지 말지 고민하다 포기할 경우도 많다. 스토리는 위험감수 부담없이 쉬험을 체험해볼 수 있다. |
유대감 욕구 | 인간의 소속감과 유대감에 대한 욕구는 가장 근원적이다. 이 소속감과 유대감의 허기를 다른 관객과 함께, 혹은 스토리 속 어떤 인물과 함께 채워볼 수 있다. |
갈등해결욕구 | 인간은 현실세계에선 갈등해결욕구가 있어도 불이익이나 더 큰 문제가 될 것이 두려워 억제하거나 회피하게 된다. 스토리란 허구세계에선 갈등 해결 욕구를 마음껏 풀어놓을 수 있다. |
질문, 답 완성 욕구 | 인간은 문제가 해결된 세계, 질문이 답해진 세계처럼 완성된 세계, 질서잡힌 세계를 그리워한다. 불확실성, 불확정성, 미완성을 확실성, 확정성, 환성으로 바꾸고자 한다. |
- 관객은 스토리에서 삶의 문제를 풀어줄 새로운 정보욕구를 갖는다.
- 관객은 스토리에서 안전한 위험을 체험하고픈 욕구를 갖는다.
- 관객은 스토리에서 유대감, 소속감의 욕구를 갖는다.
- 관객은 스토리에서 갈등이 완전히 해결되길 바라는 욕구를 갖는다.
- 관객은 스토리에서 질문에 대한 모든 답이 완성되길 바라는 욕구를 갖는다.